fnctId=profl,fnctNo=236 인물소개 리스트 고창현 교수 무기재료화학연구실 Inorganic Materials Chemistry Lab 본 실험실에서는 이러한 나노재료의 합성과 나노재료 계면의 조절을 통해서 주어진 물질의 성질을 변경하는 원천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연구실소개 바로가기 구보람 교수 다중현상 및 다중스케일 모델링 연구실 Multiphysics Multiscale Modelling Lab 우리 연구실은 근본적으로 물리/화학/생물 현상을 수학모델로 묘사하고, 전산화를 통해 공정의 행동 양상을 예측하고 공정디자인 및 운전조건을 최적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연구실소개 바로가기 김도형 교수 신소재화학공정연구실 Chemical Process Lab. For Advanced Materials 신소재화학공정연구실에서는 화신소재화학공학정연구실에서는 화학 기상 증착법(Chemical Vaper Deposition, CVD)과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ALD)을 반도체 IC소자, 디스플레이 소자, 에너지 저장소자(밧데리, 슈퍼커패시터), 환경용 광촉매, 수소생성 전기화학 촉매, 전기 변색소자, 전기화학 센서에 응용하는 연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소개 바로가기 김동훈 교수 화학공정 다공성신소재 연구실 Functional Porous Materials Lab 다공성 무기소재 기공구조 제어 및 표면개질, 제올라이트 결정 성장 및 형태 제어, 분자체 분리막 제작 및 평가, 전기화학촉매 개발 연구실소개 바로가기 김영대 교수 전도성고분자연구실 Conductivity high-molecular lab 전도성고분자 연구실은 분산액의 유변학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특히 전기유변 유체의 거동에 연구를 집중하고 있다. 연구실소개 바로가기 김택현 교수 유기합성연구실 Lab.of Organic Synthesis and Molecular Engineering 유기합성 및 정밀화학 제품 제조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수행중인 최근 연구주제는 새로운 유기촉매 및 카이랄보조체를 이용한 비대칭합성을 수행하고 있으며 또한 생리활성이 기대되는 고리화합물의 합성, 면역억제 약물의 분자구조설계 및 약효검색, 새로운 고분자형의 고분자첨가제(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자외선흡수제)의 개발, 조합화학을 위한 고체상합성반응, 센서개발을 위한 분자인식시스템 개발과 기타 정밀화학 제품 공정 개발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연구실소개 바로가기 노상철 교수 분자공학연구실 Molecular Engineering Lab 본 연구실에서는 분자의 구조 이해하여 새로운 재료나 장치를 설계하고 분석한다. 이를 기반으로 1) 복합물질의 계면성질, 분자 및 입자 상호작용 (interaction), 점탄성 (viscoelasticity), 완화 시간 (relaxation time) 등의 공학을 통해 다양한 적용 분야(지속할 수 있는 환경, 대체 에너지, 생체재료 등)에 필요한 재료나 장치를 설계하거나 2) 기존 재료에서 잘 나타나지 않는 물리 혹은 화학적인 특성을 발현하는 물질을 설계하여 새로운 적용 분야를 개발하거나 3) 액체상 속의 입자 혹은 분자 간의 상호작용 및 열역학적으로 비평형상태에 있는 연성 물질의 거동에 관한 분석을 한다. 연구실소개 바로가기 마병철 교수 공정안전시스템 연구실 Process Safety System Lab 공정안전시스템 연구실은 화학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및 손실 등을 예방하기 위한 기술 및 대응 최적화 방안 등을 연구하며, 현재는 화학공정 누출 및 확산 시뮬레이션, 유해화학물질 흡수처리 공정, VR/AR 기술을 활용한 유해화학물질과 관련된 교육 및 훈련의 컨텐츠 개발 등을 수행하고 있다. 연구실소개 바로가기 박기호 교수 환경에너지화학공정연구실 Energy, environment, and chemical process engineering lab 환경에너지화학공정연구실에서는 화학공학에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환경, 에너지, 화학 공정들에 관한 전반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소개 바로가기 박용일 교수 기능성나노재료연구실 Functional Nanomaterials Lab 기능성나노재료연구실에서는 다양한 나노재료의 합성과 표면개질 및 응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소개 바로가기 박종현 교수 반도체 소재/광전소자 연구실 Semiconductor Materials & Optoelectronic Devices Lab 반도체 소재/광전소자 연구실은 유무기 하이브리드 반도체 소재와 광전자 소자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소개 바로가기 송대성 교수 공정 및 안전공학 연구실 Process & Safety Engineering Lab(PSEL) 공정 및 안전공학 연구실은 우리의 삶의 터전인 세계(World)에 가치를 더할 수 있는 공정 기술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연구실소개 바로가기 윤정우 교수 전기화학 에너지 소재 연구실 Electrochemical Energy Materials Lab 전기화학 에너지 소재 연구실은 전기화학 기술과 표면화학기술 등을 이용하여 에너지저장 및 변환을 위한 전극 재료 개발과 그 응용(연료전지, 태양전지, 배터리)을 위한 연구를 진행 하고 있다. 전극 및 전해질 소재를 비롯하여 이들의 시스템화와 관련하여 폭넓게 진행하고 있다. 또한 바이오연료를 포함한 탄화수소 연료를 개질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개질용 촉매 개발 및 반응성, 선택성, 장기 안정성, 피독성 등을 향상시키는 촉매를 개발하여 직접 연료전지 시스템에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중이다. 연구실소개 바로가기 이무성 교수 고분자 하이브리드 재료 연구실 Polymer Hybrid Materials Lab 고분자 하이브리드 재료 연구실에서 고분자 블렌드의 다양한 특성에 대해 파악하고, 새롭게 특화된 고분자 재료를 연구하고 있다. 주로 고분자간의 Morphology와 상호관계를 파악하고, 계면 특성 제어를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광학용,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자동차/항공, 전자/반도체 등 전반적인 분야에 사용할 수 있다. 연구실소개 바로가기 이상현 교수 나노현상 및 소재 연구실 Nanoscale Phenomena and Materials Lab 나노현상 및 소재 연구실에서는 나노물질과 구조를 제어하는 데 필요한 새로운 물리적 및 화학적 이해에 중점을 둡니다. 연구를 위해 나노 와이어, 나노 튜브 및 2D 재료와 같은 저차원 물질을 합성 및 제어합니다. 이러한 나노물질 및 복합소재에서의 나노 물질의 표면이나 계면에서 물리적 또는 화학적 현상 및 응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합니다. 연구실소개 바로가기 이윤성 교수 에너지변환및저장공연구실 Energy Conversion and Storage System Lab 에너지 변환 및 저장 공정 연구실 (Energy Conversion &Storage Processing Lab.) 에서는 최근 차세대 전기 자동차 파워 시스템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리튬 이차 전지를 비롯하여 전력저장용 하이브리드 Capacitor,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등의 친환경 에너지의 변환 및 저장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새로운 에너지 저장/변환 시스템의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연구실소개 바로가기 이종일 교수 생물화학공학연구실 Biochemical Engineering Lab 미생물을 이용하여 고부가가치의 생물제품을 생산하는 생물공정을 연구하고 나노 및 광기술을 응용하여 공정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함으로써 공정의 최적화를 연구한다. 연구실소개 바로가기 이현용 교수 광전소재연구실 Photonic materials and devied Lab Photonics(또는 Optoelectronics)에 적용되는 재료, 소자 및 공정분야를 연구하는 그룹으로 현재는 크게 3가지 분야를 중점 연구하고 있다 - 비정질 칼코게나이드 박막(amorphous chalcogenide thin films)의 물성 및 응용, 광자결정(photonic crystals) 설계, 제작, 특성평가 및 응용, 나노-리소그라피 공정(dip-pen nanolithography, focused-ion-beam lithography, holographic lithography) 및 응용분야. 본 연구실에서는 현재 위 과제와 관련한 연구들을 수행 중이며 미래에 대한 꿈을 가진 학생들의 방문 및 상담을 환영하고 있다. 연구실소개 바로가기 전영시 교수 분리 및 에너지 저장/전환 공정 연구실 Separation and Energy Conversion/Storage Process Lab(SEPL) 본 연구실은 분리 및 센싱, 에너지 변환/저장 시스템의 응용을 위한 target-oriented 물질을 나노 사이즈에서부터 거시적 사이즈까지 합성/특성화한다. 연구실소개 바로가기 조성준 교수 청정에너지기술연구실 Clean Energy Technology Lab 청정에너지기술연구실(CETL, Clean Energy Technology Lab.)은 기체 분자의 저장/분리 및 각종 화학반응에 활용할 수 있는 나노재료를 개발하고 있다. 연구실소개 바로가기 하광 교수 나노소재연구실 Nano Materials Lab 나노소재 및 제올라이트를 합성하고 응용하는 연구를 하고 있으며, 유기금속화합물 또는 금속착화합물을 합성하고 X-선 단결정 분석을 하고 있다 연구실소개 바로가기 하준석 교수 나노광소자연구실 Nano Photonic Devices Laboratory NPDL(Nano Photonic Devices Lab.) 연구실의 주요 연구 주제는 빛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기 위한 소재 및 공정 개발과 인공광합성 모듈을 통해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수소 생산에 대해 진행하고 있습니다. 연구 분야는 소재 및 공정개발과 에너지 전환 효율 및 응용 그리고 분석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세부적으로는 cobalt와 형광체를 이용하여 향상된 광흡수를 가지는 GaN광전극 개발, HVPE를 이용한 Ga2O3 에피 성장, 탄소복합체와 구리를 이용한 다공성 복합재 개발, 플렉서블 히트싱크의 개발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LED (Light-Emitting Diode), 태양 전지 및 광전자 화학 (PEC)과 같은 광 장치에 적용 하고 있습니다. 또한 장치 및 재료의 시뮬레이션 및 특성화 실험도 수행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소개 바로가기 한은미 교수 광전자정보소자연구실 opto-electric device lab 유기/고분자를 소재로 한 차세대 평판형 디스플레이인 유기발광소자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및 유기태양전지의 특성평가와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OLED는 유기물의 장점을 극대화시켜 디스플레이의 박막화 및 저전력 구동, 간단한 공정 등을 통해 저비용의 소자개발이 가능하며 Organic Solar Cell은 금속과 반도체의 접촉면 또는 반도체의 p-n접합에 빛을 조사하면 광전효과에 의해 광기전력을 발생하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 이들 소자의 구동 안정성과 효율향상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연구실소개 바로가기 한종훈 교수 나노카본소재응용연구실 Nanocarbon Convergence Materials Lab 공5-141호 연구실소개 바로가기 홍창국 교수 고분자 에너지소재 연구실 Polymer Energy Materials Lab 고분자에너지소재연구실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레독스플로우 이차전지, 고분자소재 및 복합재료에 대한 연구를 수행중임. 연구실소개 바로가기 한대훈 교수 스마트소재공정연구실 Smart Materials Processing Laboratory 스마트소재공정연구실에서는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스마트 소재들의 특성 및 응용기술들을 연구합니다. 연구실소개 바로가기